검사안내
검사안내
본원에서 수행하는 검사 소개
정신건강 영역의 검사들은 개인의 주관적인 마음을 최대한 객관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시행됩니다.
심리검사는
설문지 검사와 임상심리전문가와의 심층 면담을 통한 대면검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본인도 알지 못했던 자신의 마음을 객관적으로 살펴볼 있는 기회가 됩니다. 심리검사를 통해 심리사회적 발달, 지능, 정서, 성격, 대인관계, 내재된 방어기제 등을 파악할 있습니다.
스트레스검사(HRV) 정량 뇌파검사(qEEG) 등의 전산화 검사들은 임상 면담을 보조하여 진단의 정확도를 높이며, 치료계획을 세우고 객관적 경과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활용합니다.
  • 전반적 발달평가
    전반적 발달평가

전반적 발달평가란?

영유아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 정도를 평가하는 검사로, 운동 기술의 발달과 감각 지각 능력, 인지, 의사소통 능력, 사회적 발달 등에 대해 평가합니다. 본원에서는 PEP-R, ADI-R 등의 도구를 통해 전반적인 발달 지연 언어발달 지연, 자폐스펙트럼장애 등을 전문적으로 평가합니다.
언어평가 (PRES, SELSI 등)
  • 영유아 아동의 수용 언어와 표현 언어 능력을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PEP-R
  • 영유아 아동의 대/소근육 발달과 수용 표현 언어에 대한 평가와 더불어, 시지각적 자극에 대한 모방 능력, 감각 자극에 대한 반응 능력, 인지 능력 등을 평가합니다.
구조화된 면담지 (CARS, ADI-R 등)
  • 숙련된 정신건강임상심리사의 면담을 통해, 영유아 아동의 행동 정보를 수집하는 검사입니다. 검사로 사회적 상호작용 의사소통의 질적 이상, 행동의 제한적, 반복적, 상동적 패턴 등에 대해 평가하며, 전반적인 발달 장애와 자폐스펙트럼장애를 감별하고 진단하는데 필요한 평가를 진행합니다.
베일리 영유아 발달검사 (K-Bayley-Ⅲ)
  • 생후 16일에서 42개월 사이(발달이 느린 경우 60개월까지) 영유아 아동을 대상으로 하며, 인지, 언어, 운동, 정서사회성, 적응행동의 5가지 발달 영역에 대해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 본원에서는 보건복지부의 면허를 취득한 작업치료사가 전문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영유아 아동의 발달을 도울 있는 양육 치료 방향을 계획할 있습니다.
  • 종합심리검사
    (Full Battery)
    종합심리검사

종합심리검사란? (Full Battery)

아동/청소년 성인의 전반적인 심리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종합 검사로,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여 개인의 상태를 양적/질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합니다.
심리검사는 설문지 검사와 임상심리전문가와의 심층 면담을 통한 대면검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심리검사를 통해 심리사회적 발달, 지능, 정서, 성격, 대인관계, 내재된 방어기제 등을 살펴볼 있습니다.
지능검사 (Wechsler Intelligence Scale)
  • 아동/청소년 성인의 지능을 평가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실시하는 종합적인 임상 도구로, 개인이 가진 인지적인 능력을 세부적으로 평가합니다.
  • 본원에서는 가장 최신 버전의 도구를 사용하여 평가하고 있습니다.
투사검사 (Projective Tests)
  • 모호한 자극에 대한 반응을 살펴보는 검사로, 개인의 상황과 특성에 따라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여 평가합니다.
  • 검사를 통해 개인의 정서 성격적인 특성을 파악할 있습니다.
주의집중력 검사(Attention Tests)
  • 주의집중력과 주의지속력, 인지적 유연성 등에 대해 평가하는 검사로 전산화된 주의력검사(CAT) 전두엽 관리기능검사를 활용하여 실시합니다.
  • 주의력 검사 (CAT)
    주의력 검사

주의력 검사란? (Comprehensive Attention Test, CAT)

전산화된 주의력 검사로, 컴퓨터를 활용하여 실시됩니다. 검사 동안 다양한 시각적 청각적 자극이 주어지며, 목표 자극에 정확히 반응하는 빈도와 정도를 통해 주의집중력 문제를 객관적으로 평가합니다.
  • 난독증검사 (CLT-R)
    난독증검사

난독증검사란? (Comprehensive Learning Test-Reading, CLT-R)

컴퓨터를 활용하여 실시되는 전산화된 검사로, 아동 청소년의 읽기 능력과 바탕이 되는 인지적 변인을 파악할 있습니다. 본원에서는 정신건강임상심리사의 면담과 지능검사, 인지기능검사 등과 함께 실시하며, 난독증(Dyslexia)을 선별하고 진단할 있습니다.
  • 진로적성검사
    진로적성검사

진로적성검사란?

검사는 초등학교 4학년 이후의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되며, 6가지 성격 유형을 바탕으로 개인의 직업적 성격을 파악해볼 있습니다.
  • 신경심리평가 및 치매검사
    신경심리평가 및 치매검사

신경심리평가 및 치매검사란?

기억력 저하를 호소하는 성인 노인의 기억력과 인지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한 검사이며, 이를 통해 치매 등을 진단할 있습니다. 표준화된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정신건강임상심리사와의 대면 검사를 통해 진행됩니다.
  • 스트레스 검사(HRV)
    스트레스 검사(HRV)

스트레스 검사(HRV)란?

자율신경계 검사로 누적된 스트레스 정도, 스트레스에 대한 신체의 반응, 우울, 불안 등의 정서상태를 예측할 있습니다.
자율신경 기능검사
  • 정량 뇌파검사 (qEEG)
    정량 뇌파검사

정량 뇌파검사란? (qEEG)

뇌파란 뇌의 신경세포들이 주고받는 전기적 신호를 의미하며, 현재 뇌의 상태를 알려주는 뇌의 목소리와 같습니다. 뇌의 신경세포들로부터 발생되는 다양한 주파수의 뇌파를 측정하여, 뇌기능의 활성화 정도와 건강상태를 파악할 있습니다.

정량
뇌파검사(qEEG)를 통해 현재 뇌의 기능을 알아볼 있습니다. 뇌파 검사는 인체에 고통을 주지 않고 실시하는 검사로 비침습적입니다.
뇌파측정을
통하여 보다 객관적인 진단과 치료 경과 관찰이 가능합니다. 뇌파 검사는 건강보험이 적용됩니다.
뇌파검사 진행방법
  • 식염수가 도포된 전극이 달린 모자를 착용합니다.
  • 5분정도 앉아계시면 자동으로 측정 분석이 진행됩니다.
뇌파검사는 어떤 도움이 되나요?
  • 우울증, ADHD, 양극성 장애, 조현병, 치매, 알코올 중독등의 평가에 사용됩니다.
  • 주요 정신 뇌질환을 평가하여 이에맞는 최적의 치료를 제공하게 됩니다.
뇌파와 검사지
  • 뇌의 상태에 따른 다양한 뇌파 변화를 보고 건강상태를 파악합니다.
  • 검사결과는 한눈에 보기 쉽게 출력됩니다.